로또 1등에 당첨되면 20억 원 이상을 받는다고 알고 계시죠? 하지만 실제로는 세금 공제가 이루어져 ‘손에 쥐는 금액’은 다릅니다. LuckyHub Data Lab이 복권 세금 구조와 실제 수령액을 데이터로 분석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복권 당첨금이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이 부과됩니다. 세율은 당첨금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 - 5만 원 이하: 비과세 - 5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22% (소득세 20% + 지방세 2%) - 3억 원 초과: 33% (소득세 30% + 지방세 3%)
즉, 10억 원의 당첨금을 받는다면 세금으로 약 3억 3천만 원을 내고, 실제 수령액은 약 6억 7천만 원이 됩니다. 이 구조는 로또뿐 아니라 연금복권, 스피또 등 모든 복권 당첨금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로또 6/45의 1등 당첨금은 매 회차마다 판매액과 당첨자 수에 따라 변동합니다. 평균적으로 20억~30억 원 수준인데, 이를 세금 공제 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즉, 언론에서 보도되는 ‘1등 당첨금 총액’과 실제로 손에 들어오는 금액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당첨자들이 세금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금복권 720+의 1등 당첨자는 월 700만 원을 20년간 지급받습니다. 하지만 매달 지급되는 금액 역시 세금이 공제됩니다. 월 700만 원 중 약 22%가 원천징수되어 실제 수령액은 약 546만 원 정도입니다.
20년 동안 이를 합산하면 총 수령액은 약 13억 원 수준으로, 원래 공지된 16억 8천만 원보다 낮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금복권은 여전히 매력적입니다.
즉석식 복권(스피또)도 동일한 세율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스피또 2000에서 1등에 당첨되어 20억 원을 받는다면, 로또와 같은 세금 구조에 따라 실수령액은 약 13억 4천만 원입니다. 단, 즉석 복권은 현장에서 바로 당첨금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지만, 세금 규정은 동일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당첨금이 공개될 때 “세금 때문에 실제로는 절반도 못 받는다”는 오해를 하곤 합니다. 실제로는 22~33% 수준으로 공제되며, 나머지는 온전히 수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당첨자가 되고 나면 세금이 차감된 금액이 ‘기대보다 적다’는 실망감을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당첨 이후에는 세금 공제를 고려한 자산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복권 당첨금은 꿈과 희망을 주지만, 실제 수령액은 세금 공제를 고려해야 현실적입니다. 로또는 목돈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지만, 세금 차감 후 관리가 필요하고, 연금복권은 매달 안정적 수입을 보장하지만 총액은 상대적으로 줄어듭니다.
LuckyHub Data Lab은 복권을 ‘단순한 행운의 티켓’이 아니라, 세금과 금융 구조까지 이해해야 하는 재무적 사건으로 바라보는 것이 현명하다고 강조합니다.